Windows – 꿈꾸는 개발자 https://studioys.me #개발 #일상생활 #생각 Mon, 06 Jan 2025 11:21:57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6.8 https://studioys.me/wp-content/webpc-passthru.php?src=https://studioys.me/wp-content/uploads/2024/09/cropped-그림1-32x32.png&nocache=1 Windows – 꿈꾸는 개발자 https://studioys.me 32 32 PowerShell에서 Exchange Online 연결 https://studioys.me/powershell%ec%97%90%ec%84%9c-exchange-online-%ec%97%b0%ea%b2%b0/ https://studioys.me/powershell%ec%97%90%ec%84%9c-exchange-online-%ec%97%b0%ea%b2%b0/#respond Tue, 17 Sep 2024 14:01:08 +0000 https://studioys.me/?p=582 PowerShellExchange Online 연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왼쪽 하단 Windows 검색 창에서 PowerShell을 검색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스크린샷

Exchange Online 연결

Install-Module -Name ExchangeOnlineManagement 명령을 실행합니다.

  • 계속하려면 NuGet 공급자가 필요합니다. 메시지 출력 시 Y 눌러서 설치 진행
  • 신뢰할 수 없는 리포지토리 메시지 출력 시 Y 눌러서 설치 진행
Install-Module -Name ExchangeOnlineManagement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를 입력하여 ExecutionPolicy를 변경합니다.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Import-Module ExchangeOnlineManagement를 입력하여 Exchange 모듈을 설치합니다. ( 최초 1회 )

Import-Module ExchangeOnlineManagement

Connect-ExchangeOnline을 입력합니다.

Connect-ExchangeOnline

로그인 창이 뜨면 로그인 합니다.

Exchange Online 연결 - 로그인 화면

참고 자료

]]>
https://studioys.me/powershell%ec%97%90%ec%84%9c-exchange-online-%ec%97%b0%ea%b2%b0/feed/ 0
Git 설치하기 ( Windows ) https://studioys.me/how-to-install-git-on-windows/ https://studioys.me/how-to-install-git-on-windows/#respond Fri, 06 Sep 2024 11:30:34 +0000 https://studioys.me/?p=196 더 보기Git 설치하기 ( Windows )]]> 윈도우에서 Git 설치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옵션 변경없이 그냥 설치해도 사용하는 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설치 과정에서 각 옵션을 이해하고 설치하는 것이 Git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Git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Git 다운로드 하기

Git 다운로드 페이지 접속 후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합니다.

Git 설치 - 다운로드 페이지

Git 설치하기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Git 설치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여기서부터 각 옵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약관 동의 화면

약관 동의 화면으로 약관에 동의해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약관 동의 화면

2. 설치 경로 지정 화면

Git 설치 경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경로로 C:\Program Files\Git 폴더가 지정됩니다.
원한다면 다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기본 경로로 설치합니다.

설치 경로 선택

3. 컴포넌트 선택 화면

설치할 컴포넌트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보통 초기 제공 값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컴포넌트 선택
옵션설명
On the Desktop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
Git Bash Here탐색기 Context Menu에 Git Bash Here 추가
Git GUI Here탐색기 Conext Menu에 Git GUI Here 추가
Git LFS (Large File Support)대용량 파일 지원
Associate .git* configuration files with the default text editorgit 환경 파일을 기본 텍스트 편집기에 연결
Associate .sh files to be run with Bashsh 파일을 Bash와 연결
Check daily for git for Windows updates매일 새로운 업데이트 여부 확인
(NEW!) Add a Git Bash Profile to Windows Terminal윈도우 기본 터미널에 Git Bash 프로파일 추가
(NEW!) Scalar (Git add on to manage large scale repositories)Scalar 지원 ( 대규모 리포지토리 관리 )

4. 시작 메뉴 구성

시작 메뉴에 Git 바로가기를 생성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원하는 시작 메뉴 이름을 지정하면 됩니다. 보통 기본값을 사용해도 됩니다.

만약 시작 메뉴를 만들지 않으려면 하단에 [Don’ create a Start Menu folder] 를 체크 합니다.

시작 메뉴 바로가기 생성 여부

5. 기본 편집기 선택

Git에서 사용할 텍스트 편집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Vim이 선택되어 있지만, 다른 편집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VSCode 또는 Notepad++ 같은 편리한 GUI 기반 편집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텍스트 편집기 선택

6. 기본 branch 이름 설정

저장소 초기화(생성)시 기본으로 설정되는 branch 이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과거 형상 관리 솔루션에서 기본 branch 이름을 master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master/slave가가 갖는 여러 의미로 인하여 GitHub, GitLab 등에서 기본 branch 이름을 main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따라서 기본 branch 이름을 main으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기본 branch 이름 설정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Let Git decideGit에서는 master 기본값으로 사용하는데, 이 규칙을 그대로 적용합니다.
Override the default branch name for new repositories입력한 이름을 사용합니다. ( 회사 또는 그룹 내 규칙이 있을 사용하면 됩니다. )

7. 환경 변수 설정

Git 환경 변수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Git 환경 변수 설정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Use Git from Git Bash onlyGit Bash에서만 Git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it from the command line and also from 3rd-party softwareGit을 환경 변수에 등록하여, Git 명령을 Git Bash, cmd, PowerShell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e Git and optional Unix tools from the Command Promptcmd에서 Git 이외 여러 가지 Unix 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경우 Windows 기본 도구가 변경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8. SSH 실행 도구 선택

SSH 실행 도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SH 실행 도구 선택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Use bundled OpenSSHGit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OpenSSH를 사용합니다.
Use external OpenSSH외부 OpenSSH를 사용합니다.
이 경우 Git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OpenSSH는 설치하지 않으며, PATH에 명시된 OpenSSH를 사용합니다.

9. HTTPS 전송 시 인증서 선택

HTTPS 인증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HTTPS 전송 시 인증서 선택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Use the OpenSSL libraryOpenSSL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Use the native Windows Secure Channel libraryWindows 인증서 저장소를 사용합니다.
이 경우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를 통한 회사의 내부 Root CA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0. 줄 바꿈 옵션 설정

줄 바꿈Line Ending 변환 방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는 줄 바꿈 문자를 CRLF를 사용하고, 리눅스나 맥에서는 LF를 사용하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만든 파일을 맥에서 열고 저장할 경우 줄 바꿈 문자도 변경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줄 바꿈 문자에 대해서 변환 작업을 수행합니다.

줄 바꿈 옵션 설정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Checkout Windows-style, commit Unix-style line endings체크아웃할 때는 윈도우 스타일, 커밋할 때는 유닉스 스타일 적용합니다.
Checkout as-is, commit Unix-style line endings체크아웃할 때는 스타일 변환을 하지 않고, 커밋할 때만 유닉스 스타일 적용합니다.
Checkout as-is, commit as-is스타일 변환을 하지 않습니다.

11. Git Bash 에뮬레이터 선택

Git Bash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Git Bash 에뮬레이터 선택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Use MinTTY (the default terminal of MSYS2)Git Bash 기본 터미널 에뮬레이터(MinTTY)를 사용합니다.
Use Windows’ default console window윈도우 기본 콘솔(cmd)을 사용합니다.

12. git pull 동작 설정

git pull 동작을 설정합니다. git에 익숙하신 분이라면 원하는 옵션을 설정해도 되는데 초보자라면 기본값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git pull 동작 설정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Default (fast-forward or merge)기본으로 설정합니다
Rebase현재 분기를 불러온 분기에 재배치합니다.
Only ever fast-forward불러온 분기로 빠르게 넘어갑니다. 명령어 수행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3. 자격 증명 도우미 설정

자격 증명 도우미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자격 증명 도우미 설정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Git Credential Manager자격 증명 도우미로 Git Credential Manager을 사용합니다.
None자격 증명 도우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14. 기타 설정

기타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타 설정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Enable file system caching파일 시스템 캐싱을 활성화합니다. 수행 속도를 더 빠르게 해줍니다.
Enable symbolic links심볼릭 링크를 활성화합니다. (SeCreateSymbolicLink 권한이 필요합니다.)
기존 리포지토리에는 이 설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15. 실험적 기능 설정

실험적 기능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실험적 기능 설정

각 항목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옵션설명
Enable experimental support for pseudo consoleswinpty를 사용하지 않고 Git Bash에서 Node나 Python과 같은 네이티브 콘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그러나 몇 가지 버그가 있습니다.

16. 설치 진행

이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 진행

17. 설치 완료

Finish 버튼을 눌러 설치를 완료합니다.

설치 완료

Git 설치 확인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시작 메뉴에서 [Git Bash]를 실행하고, 아래와 같이 git –version 명령어 입력하여 버전 정보를 확인합니다. 버전 정보가 표시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입니다.

$ git --version
git version 2.46.0.windows.1
Zsh

Git 환경 설정

Git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Git 환경 설정이 필요합니다.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여 Git 환경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Git 환경 설정 ( git config ) – Studio YS

마치며

윈도우에 Git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Git은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필수 프로그램으로 Git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https://studioys.me/how-to-install-git-on-windows/feed/ 0
윈도우에 리눅스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축 (WSL2) https://studioys.me/how-to-install-linux-on-windows-using-wls2/ https://studioys.me/how-to-install-linux-on-windows-using-wls2/#respond Thu, 05 Sep 2024 13:11:14 +0000 https://studioys.me/?p=159 더 보기윈도우에 리눅스 설치 및 개발 환경 구축 (WSL2)]]>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SL)을 사용하여 윈도우에 리눅스 설치 후 개발 환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설치하는 이유

윈도우에서도 충분히 웹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지만, 많은 개발자들이 윈도우에 리눅스 설치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서버 환경과의 일관성: 대부분의 서버는 리눅스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비용 절감과 관리의 효율성 때문에 서버 환경을 리눅스로 구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발 환경을 서버와 동일한 리눅스 환경으로 설정하면, 서버와의 호환성 문제를 줄이고 배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2. 리눅스 중심의 개발 자료: 많은 웹 개발 관련 기술 자료와 튜토리얼이 리눅스 또는 macOS 환경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하면 이러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개발할 수 있습니다.
  3. WSL의 간편함: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통해, 이제 리눅스 개발 환경을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WSL을 사용하면 윈도우의 편리함과 리눅스의 장점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WSL2 설치하기

WSL2는 최신 윈도우 버전에서 리눅스를 실행할 수 있는 강력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Windows 10 19041 이상 및 Windows 11에서는 자동 설치로 WSL을 설치할 수 있고 그 외 버전은 수동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자동 설치 ( Windows 10 19041 이상 or Windows 11 )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WSL이 설치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PC를 재부팅합니다.

wsl --install
PowerShell
설치 중: 가상 머신 플랫폼
가상 머신 플랫폼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설치 중: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설치 중: Ubuntu
Ubuntu이(가) 설치되었습니다.
요청한 작업이 잘 실행되었습니다.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면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수동 설치 ( 자동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

자동 설치가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다음 절차를 따라서 설치합니다.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옵션 활성화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옵션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PowerShell

    Virtual Machine 플랫폼 활성화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가상화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 Virtual Machine 플랫폼 옵션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PowerShell

    WSL 기본 버전을 2로 설정

    WSL2를 기본 버전으로 설정합니다.

     
    # 새 Linux 배포를 설치할 때 WSL 2를 기본 버전으로 설정
    wsl --set-default-version 2
    PowerShell

    윈도우에 리눅스 설치 (Ubuntu)

    Microsoft Store에서 Ubuntu를 검색한 후 원하는 버전을 설치합니다. 예를 들어, Ubuntu 22.04.3 LTS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 리눅스 설치 - Microsoft Store에서 ubuntu 검색화면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앱을 실행하여 WSL을 시작합니다. 만약 오류가 발생하면 PC를 재부팅한 후 다시 시도해보세요.

    Installing, this may take a few minutes…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04032d
    Error: 0x8004032d (null)
    Press any key to continue…

    Visual Studio Code 연결하기

    Visual Studio Code 실행 후 Extension에서 WSL 검색 후 WSL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WSL 확장이 설치되면, 리눅스 환경에서 작업 폴더로 이동한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VSCode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 cd ~/workspace/myproject
    
    # VSCode 실행
    $ code .
    Zsh
    WSL에서 Visual Studio Code 실행

    WSL은 VMWare나 Hyper-V와 달리 완전히 독립된 가상 환경이 아니며, 윈도우와 많은 부분을 공유합니다. 따라서 VSCode를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고, 윈도우 파일 탐색기를 통해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에 WSL 마운트

    마치며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WSL을 사용하여 윈도우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개발 환경을 구축해보았습니다.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이 필요하면 해당 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 자료 및 관련 사이트

    ]]>
    https://studioys.me/how-to-install-linux-on-windows-using-wls2/feed/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