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 꿈꾸는 개발자 https://studioys.me #개발 #일상생활 #생각 Mon, 20 Jan 2025 00:19:59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6.8 https://studioys.me/wp-content/webpc-passthru.php?src=https://studioys.me/wp-content/uploads/2024/09/cropped-그림1-32x32.png&nocache=1 Mac – 꿈꾸는 개발자 https://studioys.me 32 32 [Flutter] Flutter 프로젝트 구성 및 가상 디바이스 https://studioys.me/how-to-set-up-a-flutter-project-and-a-virtual-device/ https://studioys.me/how-to-set-up-a-flutter-project-and-a-virtual-device/#respond Tue, 14 Jan 2025 04:03:52 +0000 https://studioys.me/?p=1245 더 보기[Flutter] Flutter 프로젝트 구성 및 가상 디바이스]]> 플러터(Flutter)는 크로스 플랫폼으로 하나의 코드 베이스로 다양한 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ndroid 및 iOS 앱을 대상으로 Flutter 프로젝트 구성하고 가상 디바이스를 통해서 앱을 실행시켜보겠습니다.

사전 준비 사항

맥북에서 인텔리제이(IntellIJ) 기반으로 개발하기 때문에 개발 환경 구성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환경 구성이 안되어 있다면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여 개발 환경 구성을 해주세요.

Flutter 프로젝트 구성

프로젝트 생성

Flutter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Platforms에서 AndroidiOS를 선택합니다.

Dart 패키키 이름은 소문자와 _ 만 허용하기 때문에 소문자와 _ 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이름을 생성해주세요.

Android SDK 설정

[설정] 메뉴로 들어가서 [언어 및 프레임워크] > [Android SDK 업데이트 관리자] 항목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이 Android SDK 위치가 지정되어있지 않다면 Android SDK 위치를 지정합니다.

Android 패싯 추가

[파일] > [프로젝트 구조] 메뉴로 들어가서 [패싯] 항목을 선택 후 Andriod를 추가합니다.

가상 디바이스

정상적으로 개발 환경이 구성되었고, 프로젝트에 SDK 및 패싯을 정상적으로 추가했으면 아래와 같이 iOS Simulator와 Android Emulator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텔리제이 가상 디바이스 선택
인텔리제이 가상 디바이스 선택

iOS Simulator 또는 Android Emulator을 선택하면 가상 디바이스가 실행되고,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디버그 버튼을 누르면 가상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디버깅을 할 수 있습니다.

인텔리제이(IntelliJ) iOS Simulator 실행
인텔리제이(IntelliJ) iOS Simulator 실행화면

마치며

이제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가상 디바이스를 실행해보았습니다. 본격적으로 앱을 만들어보겠습니다.

]]>
https://studioys.me/how-to-set-up-a-flutter-project-and-a-virtual-device/feed/ 0
[Flutter] Flutter 개발 환경 설정 ( 맥북, macOS ) https://studioys.me/how-to-set-up-flutter-development-env-on-macbook/ https://studioys.me/how-to-set-up-flutter-development-env-on-macbook/#respond Mon, 13 Jan 2025 13:33:13 +0000 https://studioys.me/?p=1219 더 보기[Flutter] Flutter 개발 환경 설정 ( 맥북, macOS )]]> 플러터(Flutter)는 구글에서 출시한 크로스 플랫폼으로 Dart 언어를 기반으로 하나의 코드 베이스로 Linux, Windows, Android, macOS, iOS 및 웹 브라우저에서 모두 동작하는 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주로 Android 및 iOS 앱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맥북에서 Android 및 iOS 앱을 만들기 위한 Flutter 개발 환경 및 인텔리제이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스템 요구 사항

Flutter 개발을 위한 최소 시스템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운영 체제: MacOS 11 (Big Sur) 이상 ( 최신 버전 권장 )
  • CPU: 최소 4 Core ( 8Core 권장 )
  • RAM: 최소 8GB ( 16GB 권장 )
  • 디스크 공간: 최소 44GB의 여유 공간 ( 70GB 이상 권장 )
  • 해상도: 최소 WXGA(1366×768) 이상의 화면 해상도 ( 1928×1080 권장 )

Flutter SDK 설치

Flutter SDK 다운로드 및 설치

Flutter를 설치하려면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Flutter SDK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원하는 폴더에 압축을 해제합니다.

  1. 최신 버전 또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2. 원하는 위치에 폴더를 생성 후 해당 폴더에 압축을 풀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공식 가이드에서는 ~/development 폴더를 권장합니다.

Flutter 경로 추가

터미널에서 Flutter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zshrc 파일 맨 뒤에 PATH 환경 변수에 Fultter 경로를 추가하고, source ~/.zshrc 명령으로 새로고침 합니다.

export PATH=$HOME/development/flutter/bin:$PATH

정상적으로 PATH 경로가 등록 되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flutter --version
실행 결과
Flutter 3.19.6 • channel stable • https://github.com/flutter/flutter.git

Flutter 개발 환경 구성 – Android

안드로이드(Android)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Android Studio를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Android 앱 개발을 위해서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여 Android Studio 설치 및 설정을 해주세요.

Flutter 개발 환경 구성 – iOS

iOS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XcodeCocoaPods를 설치해야 합니다.

iOS 앱 개발을 위해서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여 Xcode 및 CocoaPods 설치 및 설정을 해주세요.

인텔리제이(IntelliJ) 설정

Flutter 개발을 위한 인텔리제이(IntelliJ)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 IntelliJ IDEA 2024.3.3.1 버전 기준 )

플러그인 설치

[설정] > [플러그인] 메뉴에서 Dart, Flutter를 설치합니다.

인텔리제이(IntelliJ) 플러그인
IntelliJ 플러그인

플러그인 설치 완료 후 IntelliJ를 재시작합니다.

신규 프로젝트 생성

IntelliJ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Flutter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lutter SDK Path에 Flutter 경로를 설정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됩니다.

인텔리제이(IntelliJ) Flutter 프로젝트
IntelliJ에서 Flutter 프로젝트 생성 화면

기존 프로젝트 추가

기존 Flutter 프로젝트가 있는 경우 [설정] > [언어 및 프레임워크] > [Flutter] 메뉴에 가면 Flutter SDK Path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인텔리제이(IntelliJ) Flutter SDK 경로 설정
IntelliJ Flutter SDK 경로 설정

마치며

맥북에서 Flutter 개발 환경 설정을 완료했습니다. 이제 크로스 플랫폼으로 Android 앱 개발 및 iOS 앱 개발을 시작해보겠습니다.

]]>
https://studioys.me/how-to-set-up-flutter-development-env-on-macbook/feed/ 0
[Flutter] iOS 앱 개발 환경 설정 ( Xcode 및 CocoaPods ) https://studioys.me/how-to-set-up-an-ios-app-development-env-for-flutter/ https://studioys.me/how-to-set-up-an-ios-app-development-env-for-flutter/#respond Sun, 12 Jan 2025 12:37:20 +0000 https://studioys.me/?p=1222 더 보기[Flutter] iOS 앱 개발 환경 설정 ( Xcode 및 CocoaPods )]]> 이 글은 Flutter 개발 환경 설정 가이드의 하위 포스트로, Flutter로 iOS 앱을 개발하기 위한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2025년 01월 12일 기준) Flutter로 iOS 앱을 개발하려면 Xcode 16 버전 및 CocoaPods 1.16 버전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맥북(macOS)에서 iOS 앱 개발 환경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OS 앱 개발 환경 설정

Xcode 설치 및 환경 설정

iOS 앱 개발을 위해 Xcode를 설치해야 합니다.

Xcode 설치

  1. App Store를 열고, Xcode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2. 설치가 완료되면 Xcode를 실행하여 필요한 구성 요소를 다운로드합니다.

Xcode 라이선스 동의

Xcode를 처음 사용할 때는 사용 라이선스에 동의해야 합니다. Xcode 실행 후 라이선스 동의하거나 터미널 명령어를 통해 라이선스 동의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을 입력하고 라이선스 내용을 확인한 뒤, agree를 입력하여 라이선스에 동의합니다.

sudo xcodebuild -license

명령줄 도구(Command Line) 설정

설치된 Xcode 버전을 명령줄 도구(Command Line)로 설정하기 위해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sh -c 'xcode-select -s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er && xcodebuild -runFirstLaunch'

루비(Ruby) 버전 확인 및 업데이트

CocoaPods를 설치하려면 최신 버전의 Ruby가 필요합니다.

루비 버전 확인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로 현재 설치된 Ruby 버전을 확인합니다.

ruby -v
실행 결과
ruby 2.6.10p210 (2022-04-12 revision 67958) [universal.arm64e-darwin24]

(2025년 01월 12일 기준) CocoaPods 1.16버전은 Ruby 3.1.0 버전이 필요합니다.Homebrewrbenv를 사용하여 Ruby 3.1.0을 설치합니다.

Homebrew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Homebrew 설치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1. rbenv 설치

brew install rbenv

2. ruby 3.1.0 설치

rbenv install 3.1.0
rbenv global 3.1.0

3. ruby 버전 확인

ruby -v

환경 변수 설정

루비 버전이 반영되지 않았다면 환경 변수를 설정합니다.
~/.zshrc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하고 source ~/.zshrc 명령을 입력하여 적용합니다.

eval "$(rbenv init -)"

CocoaPods 설치

CocoaPods는 iOS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CocoaPods 설치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을 입력하여 CocoaPods를 설치합니다. 관리자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시간이 조금 지나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sudo gem install cocoapods

환경 변수 설정

CocoaPods 설치 후, 환경 변수를 추가합니다.
~/.zshrc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하고 source ~/.zshrc 명령을 입력하여 적용합니다.

export PATH=$HOME/.gem/bin:$PATH

iOS 시뮬레이터 설정

가상 디바이스 다운로드

아래 명령어로 필요한 iOS 플랫폼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xcodebuild -downloadPlatform iOS

시뮬레이터 실행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로 iOS 시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

open -a Simulator

시뮬레이터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개발 환경 체크

Flutter Doctor 실행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환경 구성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합니다.

flutter doctor
실행 결과
Running flutter doctor...
Doctor summary (to see all details, run flutter doctor -v):
[✓] Flutter (Channel stable, 3.27.0, on macOS 15.2 24C101 darwin-arm64, locale ko-KR)
[✓] Android toolchain - develop for Android devices (Android SDK version 34.0.0)
[✓] Xcode - develop for iOS and macOS (Xcode 16.2)
[!] Chrome - develop for the web
[✓] Android Studio (version 2024.2)
[✓] IntelliJ IDEA Ultimate Edition (version 2024.3.1.1)
[✓] Connected device (1 available)
[✓] Network resources

Xcode - develop for iOS and macOS (Xcode 16.2) 항목이 정상적으로 체크되었다면 iOS 앱 개발 환경 설정이 완료된 것입니다.

마치며

Flutter에서 iOS 앱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 설정을 마쳤습니다. 이제 Flutter로 iOS 앱 개발을 시작해보세요.!!

참고 자료

]]>
https://studioys.me/how-to-set-up-an-ios-app-development-env-for-flutter/feed/ 0
iTerm2 ssh 자동 로그인 설정(feat.패스워드 매니저) https://studioys.me/how-to-set-up-ssh-automatic-login-in-iterm2/ https://studioys.me/how-to-set-up-ssh-automatic-login-in-iterm2/#respond Tue, 17 Sep 2024 13:44:05 +0000 https://studioys.me/?p=446 더 보기iTerm2 ssh 자동 로그인 설정(feat.패스워드 매니저)]]> iTerm2에서는 패스워드 매니저(Password Manager)를 사용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패스워드 매니저를 사용하여 ssh 접속 시 필요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iTerm2에서 ssh 자동 로그인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Term2 설치

iTerm2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여 iTerm2를 설치합니다.

iTerm2 ssh 접속 정보 설정

iTerm2 Profiles에 ssh 접속 정보를 추가합니다. iTerm2 메뉴에서 Profiles > Open Profiles를 차례대로 클릭합니다.

iTerm2 Profiles 메뉴 스크린샷

Edit Profiles 버튼을 클릭하여 Profiles 설정 창으로 이동 후 + 버튼을 눌러 Profile을 추가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Profile 항목에서 Name 항목 및 Command 항목을 변경합니다. Command 항목에 아래 그림과 같이 ssh 접속 정보를 추가합니다.

iTerm2 profile 설정 스크린샷

ssh 계정 패스워드 설정 ( Password Manager )

패스워드 매니저에서 ssh 계정 패스워드를 추가합니다. iTerm2 메뉴에서 Window > Password Manager를 차례대로 클릭합니다.

패스워드 관리 화면이 나오면 + 버튼을 눌러 칸을 하나 생성합니다.
Account Name을 Profile 이름으로 변경하고 Edit Password 버튼을 눌러 ssh 계정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iTerm2 패스워드 매니저(Password Manager)

트리거 설정

ssh 접속 화면에서 자동으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게 트리거를 설정합니다. iTerm2 메뉴에서 Profiles > Open Profile > Edit Profiles > Advanced를 차례대로 클릭합니다.

iTerm2 Profiles Advanced 화면

Edit 버튼을 눌러 트리거 메뉴로 이동하고 + 버튼을 눌러 칸을 하나 생성합니다.
Regular Expression에 \broot.*password: 를 입력하고 Action 항목에 Open Password Manager, Parameters에 Profile Name 그리고 Instant에 체크를 합니다.

iTerm2 Triggers

트리거는 iTerm2 화면에 Regular Expression에 맞는 텍스트가 발견될 경우 Action을 실행하는 것으로 ssh 접속 시 root@xxx.xxx.xxx.xxx's password: 와 같은 형태로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broot.*password: 를 입력했습니다.

만약 단순하게 password 와 같은 문자열로 입력 시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사용자가 password와 같은 문자열을 입력할 경우에도 패스워드 관리자 창이 뜨기 때문에 조금 더 필터링하기 위해서 정규표현식으로 입력했습니다.

iTerm2 ssh 자동 로그인

iTerm2 메뉴에서 New Windows에서 Profile Name를 선택합니다.

iTerm2가 실행되면서 Profile에서 설정한 Command가 자동으로 입력되고 Trigger에서 매칭되는 문자열을 판단하여 패스워드 매니저가 실행됩니다.

패스워드 매니저 화면에서 Enter Password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ssh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iTerm2 ssh 접속

참고 자료 및 사이트

]]>
https://studioys.me/how-to-set-up-ssh-automatic-login-in-iterm2/feed/ 0
인텔리제이(IntelliJ) 설치 및 가격 정보 https://studioys.me/%ec%9d%b8%ed%85%94%eb%a6%ac%ec%a0%9c%ec%9d%b4intellij-%ec%84%a4%ec%b9%98-%eb%b0%8f-%ea%b0%80%ea%b2%a9-%ec%a0%95%eb%b3%b4/ https://studioys.me/%ec%9d%b8%ed%85%94%eb%a6%ac%ec%a0%9c%ec%9d%b4intellij-%ec%84%a4%ec%b9%98-%eb%b0%8f-%ea%b0%80%ea%b2%a9-%ec%a0%95%eb%b3%b4/#respond Thu, 12 Sep 2024 15:02:43 +0000 https://studioys.me/?p=464 더 보기인텔리제이(IntelliJ) 설치 및 가격 정보]]> 인텔리제이 아이디어(IntelliJ IDEA)는 이클립스와 더불어 자바 개발 환경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통합 개발 환경 도구로 자바 뿐만 아니라 Kotlin, React 등 다양한 언어에 대해 개발 환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텔리제이 버전 및 가격 정책 그리고 맥북에 인텔리제이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텔리제이 버전 및 가격 정책

인텔리제이에서 제공하는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telliJ IDEA CE (Community Edition)
  • IntelliJ IDEA (Ultimate) – 학생 무료
인텔리제이(IntelliJ) Ultimate 가격정책
IntelliJ IDEA Ultimate 가격 정책

CE 버전과 Ultimate 버전은 다른 버전으로 맥북에서는 둘 다 설치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CE 버전을 사용해도 되지만 인텔리제이를 사용하는 의미가 많이 퇴색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Ultimate 버전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Ultimate 버전은 라이선스 만료 후에도 라이선스 기간 내에 릴리스 된 버전은 평생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실 기능이 크게 업그레이드 되는게 아니면 꼭 최신 버전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학생은 무료입니다.

Tip. Ultimate 버전은 설치 후 30일 동안 체험판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후 결정해도 됩니다.

인텔리제이는 Java, Kotlin, JavaScript, TypeScript, Rust,, Dart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있으며, Spring, Spring Cloud, J2EE 등 Java에서 사용하는 Framework 뿐만 아니라 React, ReactNative, Node.js 등의 FE Framework 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만약 FE 개발만 한다면 WebStorm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인텔리제이를 통해 Java, React, Reat Native를 개발하는데, 이클립스나 Visual Studio Code 보다 더 편하고 좋습니다.

인텔리제이(IntelliJ) 설치

인텔리제이 설치는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Homebrew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저는 Homebrew를 통해서 인텔리제이를 설치하겠습니다.

만약 Homebrew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이 글을 참고해서 Homebew를 먼저 설치해주세요.

Homebrew를 통해 CE 버전과 Ultimate 버전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저는 Ultilate 버전을 설치하겠습니다.

# Intellij IDEA CE 설치
brew install intellij-idea-ce

# Intellij IDEA Ultimate 설치
brew install intellij-idea
==> Downloading https://download.jetbrains.com/idea/ideaIU-2024.2.1-aarch64.dmg
==> Downloading from https://download-cdn.jetbrains.com/idea/ideaIU-2024.2.1-aar
######################################################################### 100.0%
==> Installing Cask intellij-idea
==> Moving App 'IntelliJ IDEA.app' to '/Applications/IntelliJ IDEA.app'
==> Linking Binary 'idea' to '/opt/homebrew/bin/idea'
🍺  intellij-idea was successfully installed!
실행 결과

기본 단축키

  • Search Everywhere ( ⇧ + ⇧ ) : 시프트 키를 두 번 누르면 아래와 같이 모든 것을 찾아주는 검색 창이 팝업 됩니다.
Search Everywhere
  • Go to File (⇧ + ⌘ + O) : 파일을 찾을 때 사용합니다.
  • Rectent Files (⌘ + E) : 최근에 수정한 파일을 찾는데 사용합니다.
  • Navigation Bar (⌘ + ↑) : 좌측 상단의 Navigation 메뉴를 이동할 때 사용합니다.

마치며

간단하게 인텔리제이 가격 정보를 알아보고 인텔리제이를 설치해보았습니다. 인텔리제이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개발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자료

]]>
https://studioys.me/%ec%9d%b8%ed%85%94%eb%a6%ac%ec%a0%9c%ec%9d%b4intellij-%ec%84%a4%ec%b9%98-%eb%b0%8f-%ea%b0%80%ea%b2%a9-%ec%a0%95%eb%b3%b4/feed/ 0
맥북 Java 설치 방법 및 버전 관리 방법(feat. SDKMAN) https://studioys.me/%eb%a7%a5%eb%b6%81-java-%ec%84%a4%ec%b9%98-%eb%b2%84%ec%a0%84-%ea%b4%80%eb%a6%ac-sdkman/ https://studioys.me/%eb%a7%a5%eb%b6%81-java-%ec%84%a4%ec%b9%98-%eb%b2%84%ec%a0%84-%ea%b4%80%eb%a6%ac-sdkman/#respond Wed, 11 Sep 2024 07:49:15 +0000 https://studioys.me/?p=443 더 보기맥북 Java 설치 방법 및 버전 관리 방법(feat. SDKMAN)]]> 맥북에서 Java를 설치하는 방법은 JDK를 직접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Homebrew 또는 SDKMAN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따라서 Java 버전이 변경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SDKMAN을 사용하여 설치 및 버전 관리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omebrew와 SDKMAN을 사용하여 맥북 Java 설치 방법과 버전 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북 Java 설치 – Homebrew

여러 버전의 JDK를 설치 및 관리해야 할 경우 SDKMAN을 추천하지만, Homebrew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저는 OpenJDK인 Zulu JDK21 버전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Oracle Java를 설치하고 싶으신 분은 oracle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만약 Homebrew가 설치 안되어 있으면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여 Homebrew를 설치해주세요
Homebrew 설치 및 사용 방법 – Studio YS

일단 brew tap을 하고 zulu 버전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zulu tab
brew tap mdogan/zulu

# zulu 버전 확인
brew search zulu
실행 결과
==> Formulae
zurl

==> Casks
mdogan/zulu/zulu-jdk10     mdogan/zulu/zulu-jdk17     mdogan/zulu/zulu-jdk8
mdogan/zulu/zulu-jdk11     mdogan/zulu/zulu-jdk18     mdogan/zulu/zulu-jdk9
mdogan/zulu/zulu-jdk12     mdogan/zulu/zulu-jdk19     mdogan/zulu/zulu-mc
mdogan/zulu/zulu-jdk13     mdogan/zulu/zulu-jdk20     zulu
mdogan/zulu/zulu-jdk14     mdogan/zulu/zulu-jdk21     zulufx
mdogan/zulu/zulu-jdk15     mdogan/zulu/zulu-jdk22
mdogan/zulu/zulu-jdk16     mdogan/zulu/zulu-jdk7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는데 zulu-jdk21 버전을 설치하겠습니다. 중간에 관리자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설치할 수 있습니다.

# zulu 21 버전 설치
brew install zulu-jdk21
실행 결과
==> Downloading https://formulae.brew.sh/api/formula.jws.json
#=#=#
==> Downloading https://formulae.brew.sh/api/cask.jws.json
#=#=#
==> Downloading https://cdn.azul.com/zulu/bin/zulu21.32.17-ca-jdk21.0.2-macosx_a
######################################################################### 100.0%
==> Installing Cask zulu-jdk21
==> Running installer for zulu-jdk21 with sudo; the password may be necessary.
Password:
installer: Package name is Azul Zulu JDK 21.32+17
installer: Installing at base path /
installer: The install was successful.
🍺  zulu-jdk21 was successfully installed!

Java가 정상적으로 설치 되었습니다. 설치된 Java 버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java -version
실행 결과
openjdk version "21.0.2" 2024-01-16 LTS
OpenJDK Runtime Environment Zulu21.32+17-CA (build 21.0.2+13-LTS)
OpenJDK 64-Bit Server VM Zulu21.32+17-CA (build 21.0.2+13-LTS, mixed mode, sharing)

이제 SDKMAN을 사용해서 Java를 설치해보겠습니다.

SDKMAN

SDKMAN 소개

SDKMAN은 Java, Kotlin, Groovy와 같은 JVM 기반 언어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버전을 관리하는 편리한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여러 버전의 Java, Gradle, Maven 등을 쉽게 설치, 관리 및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해 다른 버전의 SDK를 사용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SDKMAN 설치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 설치
curl -s "https://get.sdkman.io" | bash
맥북 Java 설치 - SDKMAN 설치 완료 스크린샷

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을 열고 위에 명령어를 입력해 줍니다.

# 설치 완료 후 설치 완료 화면을 보고 입력
source "/Users/eden/.sdkman/bin/sdkman-init.sh"

# SDK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
sdk version
실행 결과
SDKMAN!
script: 5.18.2
native: 0.4.6

맥북 Java 설치 – SDKMAN

설치 가능한 Zulu 버전을 확인 후 JDK21 버전을 설치하겠습니다.

# Zulu 버전 확인
sdk list java | grep zulu

# Zulu 21 버전 설치
sdk install java 21.0.2-zulu 

Java가 정상적으로 설치 되었습니다. 설치된 Java 버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java -version
실행 결과
openjdk 21.0.2 2024-01-16 LTS
OpenJDK Runtime Environment Zulu21.32+17-CA (build 21.0.2+13-LTS)
OpenJDK 64-Bit Server VM Zulu21.32+17-CA (build 21.0.2+13-LTS, mixed mode, sharing)

Java 버전 변경

다음과 같이 Java 기본 버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Java 버전 변경
sdk default java 21.0.2-zulu 

마치며

Java로 개발하다보면 다양한 이유로 프로젝트에 따라서 Java 버전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동으로 Java 버전을 관리하기 보다는 SDKMAN을 사용하여 Java 설치 및 버전 관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 자료

]]>
https://studioys.me/%eb%a7%a5%eb%b6%81-java-%ec%84%a4%ec%b9%98-%eb%b2%84%ec%a0%84-%ea%b4%80%eb%a6%ac-sdkman/feed/ 0
맥북에 MySQL 설치 https://studioys.me/%eb%a7%a5%eb%b6%81-mysql-%ec%84%a4%ec%b9%98/ https://studioys.me/%eb%a7%a5%eb%b6%81-mysql-%ec%84%a4%ec%b9%98/#respond Wed, 11 Sep 2024 04:02:53 +0000 https://studioys.me/?p=435 더 보기맥북에 MySQL 설치]]> 맥북에 MySQL을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공식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거나 Homebrew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omebrew를 사용하여 맥북에 MySQL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맥북에 MySQL 설치

MySQL 설치하기 위해서 homebrew가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Homebrew가 설치 안되어 있으면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여 Homebrew를 설치해주세요
Homebrew 설치 및 사용 방법 – Studio YS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MySQL을 설치합니다.
최신 버전의 MySQL을 설치하면 9.x 버전이 설치 되는데, 저는 8.4 버전을 설치하겠습니다.

( 설치하는 데 시간이 좀 걸립니다. )

brew install mysql@8.4
맥북에 MySQL 설치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위 그림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MySQL은 root 패스워드 없이 설치되며, localhost에서만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됩니다.

맥북에서 개발용으로만 사용해서 root 패스워드 없이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서비스 등록하기

MySQL 설치가 완료되면 맥북 로그인 시 MySQL이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아래 명령어로 MySQL을 서비스로 등록하고 시작합니다.

brew services start mysql
실행 결과
==> Tapping homebrew/services
Cloning into '/opt/homebrew/Library/Taps/homebrew/homebrew-services'...
remote: Enumerating objects: 3246,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100% (707/707),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323/323), done.
remote: Total 3246 (delta 438), reused 566 (delta 378), pack-reused 2539 (from 1)
Receiving objects: 100% (3246/3246), 922.31 KiB | 6.11 MiB/s, done.
Resolving deltas: 100% (1579/1579), done.
Tapped 2 commands (48 files, 1MB).
==> Successfully started `mysql` (label: homebrew.mxcl.mysql)

MySQL 보안 설정

MySQL 보안 설정을 위해 mysql_secure_installation 명령어를 실행하여 root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기타 보안 관련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mysql_secure_installation

설정을 시작하면 패스워드 복잡도 설정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보안 향상을 위해 Y를 입력합니다.

실행 결과
VALIDATE PASSWORD COMPONENT can be used to test passwords
and improve security. It checks the strength of password
and allows the users to set only those passwords which are
secure enough. Would you like to setup VALIDATE PASSWORD component?

Press y|Y for Yes, any other key for No:

패스워드 복잡도 레벨을 결정합니다. 8자 이상의 문자 + 숫자 + 특수 문자 조합을 사용 하기 위해 1번 MEDIUM을 선택합니다.

실행 결과
There are three levels of password validation policy:

LOW    Length >= 8
MEDIUM Length >= 8, numeric, mixed case, and special characters
STRONG Length >= 8, numeric, mixed case, special characters and dictionary                  file

Please enter 0 = LOW, 1 = MEDIUM and 2 = STRONG:

패스워드 복잡도에 맞게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실행 결과
Please set the password for root here.

New password:
Re-enter new password:

패스워드 강도를 보여주고 패스워드를 그대로 사용할지 여부를 물어봅니다. 패스워드를 제대로 입력했다면 Y를 입력합니다.

실행 결과
Estimated strength of the password: 100
Do you wish to continue with the password provided?(Press y|Y for Yes, any other key for No) :

anonymous 유저 삭제 여부를 물어봅니다. Y를 입력하여 anonymous 유저를 삭제합니다.

실행 결과
Remove anonymous users? (Press y|Y for Yes, any other key for No) :

외부에서 root 계정 접속을 차단할지 여부를 물어봅니다. 보통 맥북에서는 개발환경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속할 일이 없으므로 Y를 입력합니다.

실행 결과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Press y|Y for Yes, any other key for No) :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할지 물어봅니다.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Y를 입력합니다.

실행 결과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 (Press y|Y for Yes, any other key for No) :

privileges table을 갱신할지 물어봅니다. Y를 입력하여 privileges를 갱신합니다.

실행 결과
Reload privilege tables now? (Press y|Y for Yes, any other key for No) :

MySQL 접속 테스트

root 계정으로 MySQL에 접속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mysql -u root -p
실행 결과
Enter password:
Welcome to the MySQL monitor.  Commands end with ; or \g.
Your MySQL connection id is 12
Server version: 8.3.0 Homebrew

Copyright (c) 2000, 2024, Oracle and/or its affiliates.

Oracle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Oracle Corporation and/or its
affiliates. Other names may be trademarks of their respective
owners.

Type 'help;' or '\h' for help. Type '\c' to clear the current input statement.

mysql>

root 패스워드를 입력 후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MySQL 설치 및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참고 자료

]]>
https://studioys.me/%eb%a7%a5%eb%b6%81-mysql-%ec%84%a4%ec%b9%98/feed/ 0
맥북 스크린샷 찍는 방법 및 설정 변경 (저장 폴더 변경, 여백 제거) https://studioys.me/how-to-take-a-screenshot-of-macbook/ https://studioys.me/how-to-take-a-screenshot-of-macbook/#respond Tue, 10 Sep 2024 13:41:01 +0000 https://studioys.me/?p=363 더 보기맥북 스크린샷 찍는 방법 및 설정 변경 (저장 폴더 변경, 여백 제거)]]> 맥북에서는 전체 화면, 선택 영역, 창 또는 메뉴를 캡처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근데 맥북 캡처 시 바탕 화면에 캡처 파일이 생기고, 여백이 이미지에 포함되기 때문에 그대로 저장할 경우 여백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번 글에서는 맥북 스크린샷 찍는 방법 및 설정을 변경하여 저장 폴더 및 여백을 제거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북 스크린샷 찍는 방법

맥북에서는 전체 화면, 선택 영역, 창 또는 메뉴를 캡처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화면 전체 캡처

맥북 스크린샷 - 전체 화면 캡처 단축키 이미지
  1. 화면 전체 캡처를 하려면 command + shift + 3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2. 우측 하단에 썸네일이 표시되면 썸네일을 클릭하여 스크린샷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스크린샷이 저장될 때 까지 기다립니다.

선택 영역 캡처

맥북 스크린샷 - 선택 영역 캡처 단축키 이미지
  1. 선택 영역 캡처를 하려면 command + shift + 4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캡처를 취소하려면 esc(escape) 키를 누릅니다.
  2. 캡처할영역을 선택합니다. 스페이스를 누르면 캡처할 영역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3. 우측 하단에 썸네일이 표시되면 썸네일을 클릭하여 스크린샷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스크린샷이 저장될 때 까지 기다립니다.

윈도우 캡처

맥북 스크린샷 - 윈도우 캡처 단축키 이미지
  1. 윈도우 캡처를 하려면 command + shift + 4키를 동시에 누르고 이후 space 키를 누릅니다.
  2. 마우스 포인터가 카메라 아이콘으로 바뀝니다. ( 카메라 아이콘 ) 캡처를 취소하려면 esc(escape) 키를 누릅니다.
  3. 원하는 윈도우(애플리케이션)를 선택 후 클릭합니다. 스크린샷에서 여백을 제거하려면 option 키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합니다.
  4. 우측 하단에 썸네일이 표시되면 썸네일을 클릭하여 스크린샷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스크린샷이 저장될 때 까지 기다립니다.

스크린샷 저장 폴더 변경

맥북 스크린샷 - 스크린샷 폴더 변경 이미지
  1. 스크린샷은 데스크탑에 저장됩니다. 이를 변경하기 위해서 command + shfit + 5키를 동시에 눌러 스크린샷 앱을 실행합니다.
  2. 옵션 메뉴에서 [다른 위치] 메뉴를 클릭하여 스크린샷 저장 폴더를 변경합니다.

스크린샷 여백 제거

맥북에서 캡처 시 여백을 포함하여 캡처합니다. 윈도우 영역 캡처 시(Command + Shift + 4 누르고 Space Bar) Option 키를 누르고 영역을 선택하면 여백이 제거된 상태로 캡처 됩니다.

캡처 기본 설정 변경으로 여백 제거

두번째 방법은 캡처 기본 설정을 변경하여 캡처 시 여백(그림자 영역)을 제거합니다. 터미널 실행 후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defaults write com.apple.screencapture disable-shadow -bool true 
$ killall SystemUIServer

참고 자료 및 관련 사이트

]]>
https://studioys.me/how-to-take-a-screenshot-of-macbook/feed/ 0
맥북 한영키 변경 – Karabiner 설치 및 설정 https://studioys.me/%eb%a7%a5%eb%b6%81-%ed%95%9c%ec%98%81%ed%82%a4-%eb%b3%80%ea%b2%bd-karabiner-%ec%84%a4%ec%b9%98-%ec%84%a4%ec%a0%95/ https://studioys.me/%eb%a7%a5%eb%b6%81-%ed%95%9c%ec%98%81%ed%82%a4-%eb%b3%80%ea%b2%bd-karabiner-%ec%84%a4%ec%b9%98-%ec%84%a4%ec%a0%95/#respond Tue, 10 Sep 2024 07:53:36 +0000 https://studioys.me/?p=357 더 보기맥북 한영키 변경 – Karabiner 설치 및 설정]]>

맥북에서 한영 전환 키는 Caps Lock 키로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 위치가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Windows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스페이스바 오른쪽에 위치한 한영 전환 키에 익숙할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Karabiner-Elements 키 매핑 앱을 사용하여 맥북 한영키를 스페이스바 오른쪽에 위치한 우측 command 키로 변경해보겠습니다.

Karabiner

Karabiner 앱은 일명 키 매핑 앱으로 해당 앱을 통해서 아주 간단하게 맥북 한영키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맥북 한영키 변경을 위한 앱

설치

Homebrew를 사용하여 Karabiner 설치하겠습니다. 중간에 관리자 비밀번호만 입력해주면 아주 빠르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brew install karabiner-elements

권한 주기

Karabiner는 키보드 입력을 모니터링 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해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설치 후 처음으로 Karabiner-Elements 앱을 실행하면 보안 및 권한이 필요하다는 알림창이 뜨는데 모두 허용 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Karabiner - 권한 주기
Karabiner 설정

백그라운드에서 허용

Karabiner 설정 화면

입력 모니터링

Apple() 메뉴에서 시스템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입력 모니터링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하고 karabiner_grabber 항목에 대해서 허용을 활성화 합니다. 만약 해당 항목이 없으면 Karabiner-Elements 앱에서 Quit, Restart 메뉴에서 Karabiner-Elements 앱을 재시작합니다.

키스트로크 설정
입력 모니터링

로그인 항목 및 확장 프로그램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후 로그인 항목 및 확장 프로그램에서 아래와 같이 드라이버 확장 프로그램을 클릭 후 드라이버 확장 프로그램을 활성화 해야 합니다.

드라이버 확장 프로그램
드라이버 확장 프로그램 활성화

맥북 한영키 변경 – Karabiner 설정하기

Karabiner-Elements 앱을 실행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For all devices 항목에서 right_command 키를 f18로 변경합니다.

Karabiner 키 매핑

Apple() 메뉴에서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단축키 > 입력 소스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입력 메뉴에서 다음 소스 선택을 체크하고 F18(우측 command) 키를 누릅니다.

키보드 단축키 변경

이제 한영키를 우측 command로 변경하였습니다.

관련 포스트

]]>
https://studioys.me/%eb%a7%a5%eb%b6%81-%ed%95%9c%ec%98%81%ed%82%a4-%eb%b3%80%ea%b2%bd-karabiner-%ec%84%a4%ec%b9%98-%ec%84%a4%ec%a0%95/feed/ 0
NVM으로 Node.js 버전 관리하는 방법 https://studioys.me/nvm-%ec%9c%bc%eb%a1%9c-node-js-%eb%b2%84%ec%a0%84-%ea%b4%80%eb%a6%ac%ed%95%98%eb%8a%94-%eb%b0%a9%eb%b2%95/ https://studioys.me/nvm-%ec%9c%bc%eb%a1%9c-node-js-%eb%b2%84%ec%a0%84-%ea%b4%80%eb%a6%ac%ed%95%98%eb%8a%94-%eb%b0%a9%eb%b2%95/#respond Tue, 10 Sep 2024 07:14:42 +0000 https://studioys.me/?p=354 더 보기NVM으로 Node.js 버전 관리하는 방법]]> NVM(Node Version Manager)은 Node.js를 쉽게 설치하고 설치된 버전을 관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해당 도구를 사용하면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사용자, 프로젝트 별로 Node.js 버전 관리가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VM 설치 및 Node.js 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NVM을 사용해야 할까요?

Node.js 기반 프로젝트를 여러 개 관리하는 개발자라면, 각 프로젝트에 맞는 Node.js 버전을 설정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든 프로젝트가 동일한 Node.js 버전을 사용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서로 다른 버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 프로젝트를 로컬에서 실행할 때마다 해당 버전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손쉽게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 NVM(Node Version Manager)입니다.

NVM은 명령어 기반으로 Node.js 버전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며, 원하는 버전을 설치하고 프로젝트나 사용자별로 Node.js 버전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프로젝트에 맞는 환경을 빠르게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NVM으로 Node.js 버전 관리

NVM 설치

NVM은 공식적으로 homebrew 설치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GitHub에서 제공하는 설치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GitHub Repository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터미널을 열고 설치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40.0/install.sh | bash

설치는 자동으로 진행되며, 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export NVM_DIR="$([ -z "${XDG_CONFIG_HOME-}" ] && printf %s "${HOME}/.nvm" || printf %s "${XDG_CONFIG_HOME}/nvm")"
[ -s "$NVM_DIR/nvm.sh" ] && \. "$NVM_DIR/nvm.sh" # This loads nvm

사용 방법

터미널에서 명령어 기반으로 Node.js를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아래 예시에서 <version> 부분은 모두 version-like18.20, v18.20.1, v18 형태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Node.js 설치

nvm install 명령으로 원하는 버전을 설치하거나 최신 버전 또는 LTS 버전을 설치할 수 있다.

# 특정 버전 설치하기
# nvm install <version>
$ nvm install 18.20
$ nvm install v18.20.1
$ nvm install v18

# Node 최신 버전 설치
$ nvm install node

# Node LTS 최신버전 설치
$ nvm install --lts
Zsh

Node.js 버전 변경

node use <version> 명령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Node.js 버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nvm use <version>
$ nvm use v18.20.1
Zsh

Node.js 삭제

node uninstall <version> 명령으로 설치된 Node.js 버전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nvm uninstall <version>
$ nvm uninstall v18.20.1
Zsh

설치된 Node.js 버전 확인

nvm ls 명령으로 설치된 Node.js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설치된 Node 목록 확인
$ nvm ls
Zsh

기타 명령어

추가로 터미널 실행 시 기본 버전을 변경하거나 최신 버전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터미널 실행 시 기본 버전
# nvm alias default <version>
$ nvm alias default v18.20.1

# 설치되어 있는 가장 최신버전의 node를 디폴트로 사용하기
$ nvm alias default node
Zsh

마치며

NVM은 Node.js 개발 환경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여러 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버전의 Node.js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더욱 효율적이고 유연한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이 NVM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관련 포스트

]]>
https://studioys.me/nvm-%ec%9c%bc%eb%a1%9c-node-js-%eb%b2%84%ec%a0%84-%ea%b4%80%eb%a6%ac%ed%95%98%eb%8a%94-%eb%b0%a9%eb%b2%95/feed/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