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 꿈꾸는 개발자 https://studioys.me #개발 #일상생활 #생각 Sun, 05 Jan 2025 11:26:26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6.8 https://studioys.me/wp-content/webpc-passthru.php?src=https://studioys.me/wp-content/uploads/2024/09/cropped-그림1-32x32.png&nocache=1 워드프레스 – 꿈꾸는 개발자 https://studioys.me 32 32 W3 Total Cache 설정 https://studioys.me/w3-total-cache-%ec%84%a4%ec%a0%95/ https://studioys.me/w3-total-cache-%ec%84%a4%ec%a0%95/#respond Wed, 09 Oct 2024 10:32:44 +0000 https://studioys.me/?p=631 더 보기W3 Total Cache 설정]]>

W3 Total Cache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최적화하는 캐쉬 플러그인 입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속도가 느린 경우 일차적으로 캐쉬 플러그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페이지 속도 측정

페이지가 느리다. 빠르다. 이 개념은 상대적인 것이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치 데이터가 있어야 개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ageSpeed Insights 통해서 페이지 성능을 측정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3 Total Cache 설정하고 PageSpeed Insights를 통해서 성능이 개선되었는지 확인하는걸 추천합니다.

PageSpeed Insight - Mobile
PageSpeed Insight - Desktop

W3 Total Cache 설치

기존에 다른 Cache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으면 해당 플러그인 비활성화 또는 삭제 후 플러그인 메뉴에서 W3 Total Cache 검색 후 설치합니다.

W3 Total Cache

W3 Total Cache 설정

성능(Performance) 메뉴를 클릭하여 W3 Total Cache 설정합니다.

W3 Total Cache 메뉴

설정 가이드 활용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를 통해서 사이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성능 > 설정 가이드 메뉴를 클릭하고 [다음] 버튼을 눌러 설정을 시작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페이지 캐시

페이지 캐시는 W3 Total Cache의 가장 중요한 기능입니다. 이것만 사용해도 엄청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페이지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서버의 부하를 줄여 더 많은 방문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WordPress 및 W3 Total Cache를 사용한 SSD 호스팅을 적극 권장합니다.

[페이지 캐시 테스트] 버튼을 눌러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페이지 캐시

일반적으로 페이지 캐시는 [디스크: 향상]을 권장합니다. 실제로 아래와 같이 가장 효율이 좋기 때문에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페이지 캐시 테스트 결과

데이터베이스 캐시

데이터베이스 캐시는 데이터베이스 쿼리 결과를 저장하여 서버가 데이터를 더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웹 사이트 속도를 향상시킵니다.

[데이터베이스 캐시 테스트] 버튼을 눌러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데이터베이스 캐시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캐시는 [디스크]를 권장합니다. 만약 Memcached를 사용한다면 해당 항목이 활성화 되어 있고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가장 효율 좋은 [디스크]를 선택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데이터베이스 캐시 테스트 결과

객체 캐시

객체 캐시는 워드프레스 캐싱API를 활용하여 객체를 캐시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 호출 수를 줄여줄여 사이트 성능을 개선합니다.

[객체 캐시 테스트] 버튼을 눌러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객체 캐시 테스트

일반적으로 객체 캐시는 [디스크]를 권장합니다. 만약 Memcached를 사용한다면 해당 항목이 활성화 되어 있고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가장 효율 좋은 [디스크]를 선택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객체 캐시 테스트 결과

브라우저 캐시

브라우저 캐시는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 CSS, 리소스와 같은 파일을 저장하여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브라우저 캐시 테스트] 버튼을 눌러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브라우저 캐시 테스트

브라우저 캐시를 [활성화]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브라우저 캐시 테스트 결과

이미지 최적화

압축률이 좋은 WebP를 사용하도록 png, jpeg 포맷을 WebP로 변환합니다. 저는 Convert for media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있기에 해당 항목은 비활성화 합니다. 만약 별도 변환 도구가 없다면 해당 항목을 활성화 해도 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이미지 최적화

지연 로드

이미지를 필요할 때 로그 하도록 설정하여 초기 로딩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지연 로드

설정 완료

이제 설정 가이드를 통한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일반 설정 및 각 항목 별 상세 설정을 통해 추가적으로 더 설정해보겠습니다.

W3 Total Cache 설정 가이드 - 설정 완료

일반 설정

성능 > 일반 설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페이지 캐시 활성화

다음과 같이 페이지 캐시를 활성화하고 상세 설정을 설정합니다. 만약 memcached를 사용하면 해당 값을 사용합니다.

W3 Total Cache 페이지 캐시

Advanced Settings 또는 페이지 캐시 메뉴를 클릭하여 상세 설정합니다.

W3 Total Cache 페이지 캐시 상세 설정

축소 활성화

다음과 같이 축소를 활성화 하고 상세 설정을 설정합니다. 축소란 공백, 주석, 줄 바꿈 등 불필요한 문제를 제거하여 HTML, CSS, Java Script 파일의 크기를 줄여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해야 하는 데이터 양을 줄임으로써 웹 페이지의 로드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축소한 스크립트 파일을 지연실행으로 실행 시켜 웹 페이지의 로드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축소 모드를 자동으로 할 경우 사이트 기능이 정상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동으로 설정하고 PageSpeed Insights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고 필요한 CSS 및 Java Script 파일을 추가합니다.

W3 Total Cache 축소

Advanced Settings 또는 축소 메뉴를 클릭하여 상세 설정합니다.

W3 Total Cache 축소 상세설정

Java Script 축소 및 결합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워드프레스의 경우 대부분의 플러그인이 -min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축소의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 후 PageSpeed Insights 항목에서 Java Script 항목으로 느린 부분이 있으면 링크 주소를 복사 후 아래와 같이 추가합니다.

W3 Total Cache 축소 상세설정

CSS 축소 및 결합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워드프레스의 경우 대부분의 플러그인이 -min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축소의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 후 PageSpeed Insights 항목에서 CSS 항목으로 느린 부분이 있으면 링크 주소를 복사 후 아래와 같이 추가합니다.

W3 Total Cache 축소 상세설정

데이터베이스 캐시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 캐시를 활성화합니다. 만약 memcached를 사용하면 해당 값을 사용합니다.

W3 Total Cache 데이터베이스 캐시

객체 캐시 활성화

다음과 같이 객체 캐시를 활성화합니다. 객체 캐싱은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베이스 쿼리와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동적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처리 시간이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W3 Total Cache 객체 캐시

사용자 경험

이미지 지연 로드 및 이모티콘 비활성화를 체크합니다.

W3 Total Cache 사용자 경험

마치며

설정 완료 후 캐시 초기화하고 PageSpeed Insights를 통해서 얼마나 성능이 좋아졌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수시로 성능 저하가 없는지 체크하고 필요 시 재 설정 해야 합니다.

참고 자료

]]>
https://studioys.me/w3-total-cache-%ec%84%a4%ec%a0%95/feed/ 0
구글 애드센스 가입, 신청, 연동 https://studioys.me/%ea%b5%ac%ea%b8%80-%ec%95%a0%eb%93%9c%ec%84%bc%ec%8a%a4-%ea%b0%80%ec%9e%85-%ec%8b%a0%ec%b2%ad-%ec%97%b0%eb%8f%99/ https://studioys.me/%ea%b5%ac%ea%b8%80-%ec%95%a0%eb%93%9c%ec%84%bc%ec%8a%a4-%ea%b0%80%ec%9e%85-%ec%8b%a0%ec%b2%ad-%ec%97%b0%eb%8f%99/#respond Tue, 24 Sep 2024 13:01:49 +0000 https://studioys.me/?p=671 더 보기구글 애드센스 가입, 신청, 연동]]> 구글 애드센스는 사이트나 블로그에 개제된 콘텐츠를 통해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사이트나 블로그에 콘텐츠가 어느 정도 준비되었다면 애드센스에 가입하고 연동할 수 있습니다. 발행한 글의 내용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발행한 글이 5개 이상일 경우 신청하는 것이 좋으며, 신청 후에도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애드센스 가입부터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구글 애드센스 연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가입

애드센스 사이트로 접속 후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

아래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로그인

로그인 후 [지금 시작하세요] 페이지에서 아래 항목들을 설정합니다.

  • 내 사이트: 워드프레스 도메인 주소 입력
  • 애드센스를 최대한 활용하기: 실적 개선을 위한 제안 받기 (옵션)
  • 수취인 국가/지역: 대한민국
  • 애드센스 이용약관: 동의
구글 애드센스 시작하기

[애드센스 사용 시작] 버튼을 누르면 애드센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연결하기

애드센스 홈에서 [정보 입력] 완료 후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사이트를 연결합니다.

애드센스 정보 입력 및 사이트 연결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사이트의 소유권을 확인해야 합니다. ads.txt 파일을 만들어서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합니다.

사이트 소유권

root 폴더에 ads.txt 파일을 생성하고 위 내용을 붙여넣기 합니다. 워드프레스 기준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 root 폴더로 이동
cd /var/www/html

# ads.txt 파일 생성
echo "ads.txt내용" >> ads.txt

이제 nginx에서 ads.txt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워드프레스 기준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 nginx 로 이동
cd /etc/nginx/sites-enabled/

# conf 수정
vi wordpress_https.conf

wordpress_https.conf 및 wordpress_http.conf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location = /ads.txt {
        allow all;
        log_not_found off;
        access_log off;
}
ads.txt에 권한 추가

사이트 소유권 신청 완료 후 애드센스 신청을 완료합니다. 애드센스 승인까지 약 2주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신청 기간 동안에도 콘텐츠를 계속 생성하면됩니다.

워드프레스 애드센스 연동

구글 사이트 키트 플러그인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 후 플러그인 메뉴에서 구글 사이트 키트를 설치 후 활성화 합니다.

구글 사이트 키트

플러그인 설치 및 활성화가 완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 메뉴에 사이트 킷이 추가됩니다. [설정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설정을 시작합니다.

Site Kit Start

[구글에 로그인] 버튼을 눌러 구글 로그인 후 사이트킷 설정을 합니다. 총 4단계로 진행되며 모두 승인하면 됩니다.

  • Have Google verify site ownership: 사이트 소유권 확인 ( Verify 클릭 )
  • Turn on metrics in your dashboard: 대시보드에 추가 ( Allow 클릭 )
  • Set up Search Console: Google Search Console에 추가 ( Set up 클릭 )
  • Set up Google Analytics: Google Analytics 연동 ( Next 클릭 )

승인 완료 후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사이트킷 > 설정 > 더 많은 서비스 연결하기를 차례대로 클릭 후 에서 애드센스를 활성화 합니다.

마치며

이제 애드센스 신청을 완료했습니다. 승인까지 2주의 시간이 소요되니 글 쓰기를 머추지 않고 글을 작성하면됩니다. 모두 많은 수익을 창출했으면 좋겠습니다.

참조 자료

]]>
https://studioys.me/%ea%b5%ac%ea%b8%80-%ec%95%a0%eb%93%9c%ec%84%bc%ec%8a%a4-%ea%b0%80%ec%9e%85-%ec%8b%a0%ec%b2%ad-%ec%97%b0%eb%8f%99/feed/ 0
워드프레스 도메인 연결 및 Let’s Encrypt SLL 설정 https://studioys.me/%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b%8f%84%eb%a9%94%ec%9d%b8-%ec%97%b0%ea%b2%b0-%eb%b0%8f-lets-encrypt-sll-%ec%84%a4%ec%a0%95/ https://studioys.me/%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b%8f%84%eb%a9%94%ec%9d%b8-%ec%97%b0%ea%b2%b0-%eb%b0%8f-lets-encrypt-sll-%ec%84%a4%ec%a0%95/#respond Sun, 22 Sep 2024 08:31:30 +0000 https://studioys.me/?p=614 더 보기워드프레스 도메인 연결 및 Let’s Encrypt SLL 설정]]> 워드프레스는 대표적인 설치형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로 워드프레스로 생성한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을 연결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워드프레스 도메인 연결 및 Let’s Encrypt SSL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이 포스트는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앱을 설치 및 배포를 완료했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도메인 연결 및 SSL 설정

일반적으로 워드프레스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메인 구입
  2. 네임서버 변경 및 DNS 설정
  3. 워드프레스 설정에서 도메인 변경

도메인 구입

도메인은 인터넷 상에서 일종의 고유한 이름으로 웹사이트의 목적이나 브랜드에 맞는 이름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메인은 중복될 수 없기에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도메인을 구매할 수 있는지 확인 후 도메인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도메인 등록 기관은 많이 존재하는데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주로 가격이나 관리하기 편한 곳에서 도메인을 구매하면 됩니다. 저는 GoDaddy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국내 업체는 후이즈, 나야나, 닷네임, 호스팅kr 등이 있습니다.

네임 서버 변경

도메인 구매를 완료하면 도메인의 네임 서버를 변경해야 합니다. 네임 서버 메뉴는 도메인 등록 기관마다 다르기 때문에 각 도메인 등록 기관 관리 콘솔에서 네임 서버 메뉴를 찾아서 다음과 같이 변경해야 합니다.

  • ns1.vultr.com
  • ns2.vultr.com

네임 서버를 변경하는 데 시간이 꽤 소요될 수 있습니다. 네임 서버가 변경 완료되고 이후 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GoDaddy에서 네임 서버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내 제품] 메뉴에서 [DNS 관리] > [네임 서버]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하고 네임 서버를 변경합니다.

Godaddy 네임 서버 변경

다음은 가비아에서 네임 서버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My 가비아] 메뉴에서 [도메인 관리]로 이동 후 [도메인 정보 변경] > [네임 서버] > [설정]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하고 네임 서버를 변경합니다.

가비아 네임 서버 변경

벌쳐 DNS 추가

벌쳐 로그인 후 Products > Network > DNS 메뉴를 차례로 클릭하고 [Add Domain] 버튼을 클릭합니다. Domain 항목에 구매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Selected Network Instance 항목에서 벌쳐에서 구입한 Compute Server를 선택하고 [Add] 버튼을 클릭합니다.

도메인 추가

워드프레스 도메인 변경

워드프레스 관리자 콘솔에 접속하고 [설정] 메뉴에서 워드프레스 주소(URL) 및 사이트 주소(URL)을 구입한 도메인으로 변경합니다.

워드프레스 도메인 변경

원격 호스트 접속

원격 호스트에 접속합니다. putty 또는 터미널에서 ssh로 접속합니다. root 계정 비밀번호는 vultr 상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vultr 상세 페이지
# 터미널
ssh -l root studioys.me

Let’s Encrypt SSL 인증서 설치

원격 접속 certbot 명령으로 인증서를 등록합니다.

# certbot 예시
certbot --nginx --redirect -d www.studioys.me -d studioys.me -m email주소 --agree-tos --no-eff-email

옵션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 –nginx
    • nginx 사용
  • –redirect
    • 모든 HTTP 요청을 HTTPS로 redirection
  • -d www.studioys.me -d studioys.me
    • 다중 도메인 인증서 설치 ( 최대 100개의 도메인 등록 가능 )
  • -m email주소
    • 관리자 이메일 주소
  • –agree-tos
    • 서비스 이용 약관 동의
  • –no-eff-email
    • Let’s Encrypt 이메일을 받지 않음

Let’s Encrypt SSL 인증서 자동 갱신

Let’s Encrypt 인증서는 90일 동안 유효합니다. 따라서 90일이 되기 전에 인증서를 갱신해야 하는데, systemd timers와 crontab을 사용하여 인증서를 자동으로 갱신해야 합니다.

# 1. 타이머가 활성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systemctl list-timers | grep 'certbot\|ACTIVATES'

# 2. crontab 항목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ls -l /etc/cron.d/certbot

# 3. 갱신 프로세스가 시험 실행에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certbot renew --dry-run

워드프레스 사이트 접속

이제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도메인으로 접속이 잘 되는지 확인합니다.

참고 자료

]]>
https://studioys.me/%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b%8f%84%eb%a9%94%ec%9d%b8-%ec%97%b0%ea%b2%b0-%eb%b0%8f-lets-encrypt-sll-%ec%84%a4%ec%a0%95/feed/ 0
워드프레스 관리자 콘솔 접속 및 기본 설정 https://studioys.me/%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a%b4%80%eb%a6%ac%ec%9e%90-%ec%bd%98%ec%86%94-%ec%a0%91%ec%86%8d-%eb%b0%8f-%ea%b8%b0%eb%b3%b8-%ec%84%a4%ec%a0%95/ https://studioys.me/%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a%b4%80%eb%a6%ac%ec%9e%90-%ec%bd%98%ec%86%94-%ec%a0%91%ec%86%8d-%eb%b0%8f-%ea%b8%b0%eb%b3%b8-%ec%84%a4%ec%a0%95/#respond Thu, 19 Sep 2024 02:08:20 +0000 https://studioys.me/?p=610 더 보기워드프레스 관리자 콘솔 접속 및 기본 설정]]> 벌쳐 서버에서 워드프레스 설치 및 배포하고 다음 작업으로 워드프레스 관리자 콘솔 접속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관리자 콘솔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앱을 설치 시 관리자 계정을 임의로 생성하기 때문에 해당 계정으로 접속 후 새로운 관리자 계정을 생성하고 임시 계정을 삭제하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이 포스트는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앱을 설치 및 배포를 완료했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서버 상세 정보

Products > Compute 메뉴를 차례로 클릭하면 서버(Compute)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oud Compute 목록

Compute 목록에서 이름을 클릭하거나 상세 메뉴에서 [Server Details] 메뉴를 클릭하면 서버 상세 정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버 상세 정보 페이지에서는 서버 모니터링 정보와 서버의 사양 그리고 과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정보 하단에 App Instructions 영역에 서버 설치 후 해야 하는 작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rver Details

워드프레스 관리자 콘솔 접속

서버 상세 정보 페이지에 있는 App Instructions 영역 내의 Configuration and Administration 섹션으로 이동하면 관리자 콘솔 접속 주소 그리고 초기 관리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콘솔 주소는 https://IP주소/wp-admin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이제 관리자 콘솔에 접속해보겠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비공개 연결이 아닙니다. 메시지 창이 뜬다면 하단에 [고급] 버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주소가 보이는 데 주소를 클릭하여 접속합니다. 이 현상은 나중에 도메인 연결하고 SSL 적용하여 해결하도록 하겠습니다.

ERR_CERT_AUTHORITY_INVALID

Configuration and Administration 섹션에 있는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콘솔 로그인

최초 로그인 시 워드펜스(Wordfence) 설치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알림창이 뜨면 워드펜스 회원 가입 또는 로그인 하고 무료 버전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설정 변경

워드프레스 리소스를 한국어 및 한국 리전에 맞게 설정 값을 변경하겠습니다. 좌측 메뉴에서 [Settings] 메뉴를 클릭합니다. [General Settings]에서 설정 값을 다음과 같이 변경 후 [Save Changes] 버튼을 클릭하면 한국어로 변경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콘솔 기본 설정

관리자 추가 및 임시 계정 삭제

Configuration and Administration 섹션에 있는 관리자 정보는 워드프레스 설치 할 때 임시로 만든 계정으로 실제 관리자를 추가하고 해당 계정은 삭제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사용자] 메뉴를 클릭하고 [새 사용자] 버튼을 클릭하여 관리자를 추가합니다. 그리고 로그아웃 하고 추가한 계정으로 로그인 후 임시 계정을 삭제합니다.

관리자 추가 시 역할을 반드시 관리자로 지정해주세요.

마치며

이제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고 관리자 계정을 추가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도메인을 연결하고 SSL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참고 사이트 및 참고 자료

]]>
https://studioys.me/%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a%b4%80%eb%a6%ac%ec%9e%90-%ec%bd%98%ec%86%94-%ec%a0%91%ec%86%8d-%eb%b0%8f-%ea%b8%b0%eb%b3%b8-%ec%84%a4%ec%a0%95/feed/ 0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https://studioys.me/%eb%b2%8c%ec%b3%90-%ec%84%9c%eb%b2%84%ec%97%90%ec%84%9c-%ec%9b%90%ed%81%b4%eb%a6%ad-%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84%a4%ec%b9%98/ https://studioys.me/%eb%b2%8c%ec%b3%90-%ec%84%9c%eb%b2%84%ec%97%90%ec%84%9c-%ec%9b%90%ed%81%b4%eb%a6%ad-%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84%a4%ec%b9%98/#respond Wed, 18 Sep 2024 05:07:56 +0000 https://studioys.me/?p=595 더 보기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벌쳐Vultr는 클라우드 컴퓨팅, 단독 서버 등의 가상 클라우드 서버를 주력으로 하는 가성비가 아주 뛰어난 호스팅 업체입니다. 또한 서버를 잘 모르는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이며 매뉴얼이 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벌쳐 클라우드 호스팅 서버를 추천합니다.

이 포스트는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앱을 설치 및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벌쳐 회원 가입

아래 링크를 눌러 벌쳐 홈페이지로 이동하고 회원 가입을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회원 가입하고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14일동안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크레딧 100$가 충전되기 때문에 체험판으로 사용하기 딱 적당합니다.

벌쳐 계정 생성 화면

회원 가입 후 결제 정보 등록이메일 인증을 완료합니다. 결제 정보(신용 카드) 등록 시 선불금(deposit)은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서버 생성

Products > Compute 메뉴를 차례로 클릭하면 서버(Compute)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ploy Server] 버튼을 눌러 서버를 생성합니다.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 
Deploy Server

서버 유형 선택

서버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호스팅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Cloud Compute]를 선택합니다.

  • Optimized Cloud Compute: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높은 성능이 필요한 게임 서버 등
  • Cloud Compute: 가성비 클라우드. 낮은 트래픽의 웹사이트나 블로그, 개발용으로 적합
  • Cloud GPU: AI, 머신러닝 등의 GPU가 필요한 전문가용 서버 ( A100, A40 탑재 )
  • Bare Metal: 단속 서버. 높은 성능이 필요한 대형 게임 서버 등
벌쳐 서버 유형 선택 스크린샷

서버 위치 선택

서버 위치를 선택합니다. 한국을 대상으로 블로그 한다면 [Seoul]을 선택합니다. 만약 다른 나라를 대상으로 한다면 그 나라 또는 주변 나라를 선택해주세요.

서버 위치 선택 스크린샷

서버 이미지 선택

워드프레스 앱을 찾아서 선택합니다. 기본 OS를 선택하고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할 경우 워드프레스 설치 뿐만 아니라 PHP, MySQL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원클릭 설치가 가능한 워드프레스 앱을 선택합니다.

서버 이미지 선택

요금제 선택

저는 AMD High Performance 요금제 중에서 가장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했습니다. 나중에 방문자 수가 많아지고 사용하는 플러그인이 많아져 서버가 느리다고 생각되는 시점에서 상위 요금제로 변경하면 됩니다.

요금제 선택

부가 서비스

기본적으로 Auto Backups이 선택되어 있는데 해당 옵션을 제거합니다. 나중에 콘텐츠가 많아지면 활성화할 예정입니다.

백업, IPv6, 디도스 공격, VPC 등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서비스를 체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가 서비스 선택

워드프레스 정보 입력

워드프레스 관리자 이메일 주소 및 블로그 제목을 입력합니다.

워드프레스 정보 입력

서버 설정

등록된 SSH 키 설정을 선택합니다. 만약 SSH 키가 없으면 + 버튼을 눌러 SSH 키를 추가해주세요.
(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여 SSH 키를 생성하고 등록할 수 있습니다. )

호스트 네임

서버 호스트 네임을 입력합니다. Compute 목록에서 서버가 여러 대 있을 때 구분하기 위한 이름입니다.

서버 호스트 네임

서버 생성

최종적으로 월 6$ (약 8,100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서버를 생성하면 워드프레스 설치된 서버가 Compute 목록에 서버가 생성되고 Installing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Running 상태로 변경됩니다.

Running 상태가 되었다고 바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View Console에서 필요한 작업이 계속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수 작업이 끝나고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제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다음 단계로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리자 계정을 추가하고 기본 언어 설정을 변경해보겠습니다.

관련 포스트

]]>
https://studioys.me/%eb%b2%8c%ec%b3%90-%ec%84%9c%eb%b2%84%ec%97%90%ec%84%9c-%ec%9b%90%ed%81%b4%eb%a6%ad-%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84%a4%ec%b9%98/feed/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