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 꿈꾸는 개발자 https://studioys.me #개발 #일상생활 #생각 Sat, 04 Jan 2025 09:55:43 +0000 ko-KR hourly 1 https://wordpress.org/?v=6.8 https://studioys.me/wp-content/webpc-passthru.php?src=https://studioys.me/wp-content/uploads/2024/09/cropped-그림1-32x32.png&nocache=1 Cloud – 꿈꾸는 개발자 https://studioys.me 32 32 Rocky Linux에 nginx 설치 및 Let’s Encrypt 설정 https://studioys.me/how-to-install-and-setup-nginx-and-lets-encryt/ https://studioys.me/how-to-install-and-setup-nginx-and-lets-encryt/#respond Tue, 31 Dec 2024 13:33:36 +0000 https://studioys.me/?p=956 더 보기Rocky Linux에 nginx 설치 및 Let’s Encrypt 설정]]> 클라우드 환경에서 Rocky Linux 서버 인스턴스 생성 후, nginx 설치 및 Let’s Encrypt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웹 서버를 운영하면서 nginx를 사용해서 호스트에 따라 적절한 포트로 라우팅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림. 서버 구성도

nginx 설치

시스템 업데이트

서버 접속 후 Rocky Linux 최소 보안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sudo dnf -y upgrade-minimal

nginx 저장소 추가

Rocky Linux의 기본 패키지 저장소에도 nginx가 있지만, 최신 버전을 설치하려면 EPEL(Extra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저장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sudo dnf install epel-release -y

nginx 설치

EPEL 저장소를 추가한 후,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 nginx를 설치합니다.

sudo dnf install nginx -y

nginx 서비스 시작 및 부팅 시 자동 시작 설정

nginx를 설치한 후에는 서비스를 시작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합니다.

# nginx 서비스 시작
sudo systemctl start nginx

# 부팅 시 자동 시작 설정
sudo systemctl enable nginx

방화벽 설정

nginx가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방화벽 설정을 추가해야 합니다. HTTP와 HTTPS 트래픽을 허용합니다.

# HTTP(80번 포트) 허용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 HTTPS(443번 포트) 허용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s

# 방화벽 재로드
sudo firewall-cmd --reload

설치 확인

nginx가 제대로 설치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웹 브라우저에서 Rocky Linux 서버의 IP 주소로 접속해 봅니다. 아래 명령어로 서버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ostname -I

웹 브라우저에서 http://서버_IP주소로 접속했을 때 nginx 테스트 페이지가 보이면 정상적으로 nignx가 설치된것입니다.

nginx 테스트 페이지

Let’s Encrypt 설정

certbot 설치

certbot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EPEL(Extra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저장소를 사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nginx를 설치할 때 이미 했기 때문에 생략해도 됩니다.

# enable EPEL
sudo dnf install epel-release -y 

# certbot 설치
sudo dnf install certbot -y 

SSL 인증서 획득

Let’s Encrypt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가장 무난한 standalone 방식으로 인증서를 획득하겠습니다. 인증을 받기 위해 nginx 서버를 잠시 정지합니다.

certbot 명령어에서 -d 옵션을 여러 개 입력하여 여러 도메인을 한번에 인증 받을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 하나씩 받는걸 추천합니다. 또 와일드 카드 인증서는 DNS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자동 연장이 안되서 standalone 방식으로 인증서 만드는 것을 추천합니다.

# nginx 정지
sudo systemctl stop nginx

# SSL 인증서 획득
sudo certbot certonly --standalone -d example.com -d host.example.com -d ... -d ...

/etc/letencrypt/live 폴더에 가면 도메인 이름으로 폴더가 생성되고, 그 폴더 하위에 인증서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ginx 설정

이제 nginx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nginx 설정 폴더로 이동 후 sites-enabled 폴더를 생성합니다. sites-enabled는 도메인 별로 설정을 관리하기 위해서 생성하는 폴더입니다.

# nginx 폴더로 이동
cd /etc/nginx

# sites-enabled 폴더 생성 후 이동
mkdir sites-enabled && cd sites-enabled

# 도메인 설정 파일 생성
vi example.com.conf

도메인 설정 파일에 아래와 같이 입력 후 내용을 작성합니다. 만약 도메인이 여러 개 있다면 server { … } 부분을 여러 개 추가하면 됩니다.

# api.example.com -> http://localhost:9000 으로 라우팅
server {
  listen 443 ssl http2;
  # URL : api.example.com 
  server_name api.example.com;
  # certbot으로 생성한 인증서 위치
  ssl_certificate /etc/letsencrypt/live/api.example.com/fullchain.pem;
  ssl_certificate_key /etc/letsencrypt/live/api.example/privkey.pem;
  ssl_session_cache shared:SSL:1m;
  ssl_session_timeout  10m;

  location / {
    # 서버 주소 입력
    proxy_pass  http://localhost:9000;
    proxy_set_header Host $http_host;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set_header X-Forwarded-Proto $scheme;
  }
}

기존 nginx 설정에 위 설정을 추가합니다.

# nginx 폴더로 이동
cd /etc/nginx

# conf 수정
vi example.com.conf
nginx conf 파일

위 그림과 같이 include /etc/nginx/sites-enabled/*.conf 를 추가합니다.

인증서 자동 갱신

Let’s Encrypt는 인증서 유효기간이 90일 이며, 만료 30일 이내에 갱신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매일 월요일 오전 3시에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도록 crontab에 등록해보겠습니다.

우선 갱신이 정상적으로 되는 환경인지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 nginx는 중지 상태여야 합니다. )

# 갱신 모의 테스트
sudo certbot renew --dry-run

갱신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crontab에 등록하겠습니다.

crontab 설정 파일을 열고 아래 내용을 입력합니다.

# cronetab 설정 열기
crontab -e

# 월요일 오전 3시에 갱신
0 3 * * 1 /usr/bin/certbot renew --quiet --pre-hook "/usr/sbin/service nginx stop" --post-hook "/usr/sbin/service nginx start"

crontab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systemctl restart crond.service

적용 확인

이제 nginx를 시작하여 정상적으로 인증서가 반영되어 HTTPS 처리가 되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sudo systemctl start nginx

참고 자료 및 관련 사이트

]]>
https://studioys.me/how-to-install-and-setup-nginx-and-lets-encryt/feed/ 0
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서버호스팅): 초기 스타트업 비즈니스에서 당신의 선택은? https://studioys.me/cloud-and-colocation-server-hosting/ https://studioys.me/cloud-and-colocation-server-hosting/#respond Sun, 29 Dec 2024 13:20:25 +0000 https://studioys.me/?p=1015 더 보기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서버호스팅): 초기 스타트업 비즈니스에서 당신의 선택은?]]> 웹 서비스를 위해 서버를 구성하는 데 있어 다양한 방법이 존재 합니다. 그 중에서 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서버호스팅)은 서버를 구성하는 데 가장 많이 선택하는 옵션으로 초기 스타트업에서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이 존재합니다.

어느 정도 규모가 되는 기업은 자체적으로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조직과 역량을 갖추고 있어 워크로드와 보안 요구사항에 따라 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 중 적합한 방식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 자본이 부족한 스타트업은 비용적인 측면이 초기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고민을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초기 스타트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어떤 선택이 더 적합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라우드란?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로는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Naver Cloud 등이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장점

  • 유연성: 필요에 따라 자원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 비용 효율성: 초기 투자 비용이 없으며,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지불합니다.
  • 신속한 배포: 인프라를 빠르게 설정하고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관리 간소화: 하드웨어 유지보수가 필요 없으며, 서비스 제공자가 이를 책임집니다.

클라우드의 단점

  • 예상치 못한 비용 증가: 사용량이 증가하면 비용도 예상보다 크게 늘어날 수 있습니다.
  • 종속성: 특정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보안 우려: 데이터가 제3자 서버에 저장되므로 보안 문제를 신중히 검토해야 합니다.

코로케이션이란?

코로케이션은 기업이 자체 서버를 구매하여 데이터센터의 공간을 임대하고, 전력, 냉각,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입니다.

코로케이션의 장점

  • 높은 제어권: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 보안 강화: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독립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 예측 가능한 비용: 장기적인 관점에서 클라우드보다 비용이 저렴할 수 있습니다.
  • 고성능: 특정 워크로드에 맞게 하드웨어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코로케이션의 단점

  • 초기 투자 비용: 서버 장비 구매 및 설치 비용이 높습니다.
  • 복잡한 관리: 하드웨어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 확장성의 한계: 급격한 확장 요구를 처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의 주요 차이점

특징클라우드코로케이션
비용 구조사용량 기반 과금초기 투자 비용 및 월 운영비
확장성무제한 확장 가능제한적, 하드웨어 추가 필요
제어권제한적, 서비스 제공 업체에 의존S/W 및 H/W 모두 제어 가능
보안공유 인프라 기반, 보안 우려 있음물리적 제어 가능, 보안 강화
유지보수서비스 제공업체가 관리자체 유지보수 필요
가용성글로벌 네트워크 지원데이터센터의 물리적 위치에 의존

초기 스타트업에서 고려사항

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서버 스펙 및 인스턴스 개수 입니다. 초기 사용자가 많지 않다고 가정하고, 소규모로 운영 가능한 최소 서버 스펙을 vCPU 1코어 및 2GB 램으로 가정해보겠습니다.

서버 비용

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을 모두 제공하는 가비아를 기준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가비아 클라우드 비용
가비아 클라우드 비용 ( 1vCore / 2GB )
가비아 클라우드 비용
가비아 클라우드 비용 ( 4vCore / 8GB )

1vCore 및 2GB의 경우 월 30,000원, 4vCore 및 8GB의 경우 월 140,500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가비아 1분 서버 설치
가비아 1분 설치 서버

가비아에서 제공하는 1분 설치 서버를 사용한다면 4Core에 8GB의 경우 월 90,000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3 티어 구성 시 비용

만약 웹 서비스를 3티어(Frontend 서버, Backend 서버, Database 서버)로 구성한다고 가정하면 동일하게 둘다 동일하게 월 9만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서비스 운영 시점에 다다르면 서버를 추가/삭제하기보다는 인스턴스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월 요금이 고정되는 경향이 있기에 월 요금으로 계산하였습니다.

  • v1Core 2GB 3개 인스턴스 필요 : 30,000 * 3 = 90,000
  • 4Core 8GB 서버 필요 : 90,000

이때 비용은 동일하나 1분 서버 설치가 더 가용성이 좋습니다. 그리고 만약 1분 서버 설치가 아닌 코로케이션 서버를 구매/임대하는 경우는 비용이 더 증가하나 더 많은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코로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보통 코로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코로케이션의 경우 업체에 따라서 약정 기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 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시 접속자 수가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경우 대응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동시 접속자 수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유리합니다.

저는 웹 서비스 개발자들이 다 외부에서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 서버가 내부가 아닌 외부에 존재해야 합니다. 또한 데모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데모 서버도 항시 운영되어야 합니다. 이 경우 실제 사용자 수는 많지 않고, 서버 인스턴스가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발 서버와 데모 서버는 코로케이션 서버 한대로 NGINX와 Let’s Encrypt SSL 구성하여 내부에 FE 서비스 4개, BE 서비스 2개, MySQL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필요에 따라서 웹 서비스를 올리고 내리고 하고 있습니다.

이때 발생하는 월 비용은 클라우드 비용 대비 50% 이상 절감됩니다.

하이브리드 방식

저는 운영 서버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그외 나머지 서버는 모두 코로케이션 서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운영 서버의 경우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서 2~3일 정도 동시 접속자 수가 평시 대비 100배 이상 증가하기 때문에, 그 기간만 로드밸런싱을 사용하여 서버를 추가했다가 제거합니다.

그리고 개발하고 서비스 하는 과정에 있어서 검증 서버 및 스테이징 서버 구성하는 데 있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 로컬 개발 : 각자 로컬에 개발
  • 개발 서버 : 코로케이션으로 운영 ( 기본적인 단위 테스트 진행 )
  • 검증 서버 : 개발 항목에 대한 검증 시 클라우드에서 인스턴스 생성 후 진행 ( 보통 2주 )
  • Staging 서버 : 검증 완료 후 실제 운영 서버와 동일한 형태의 클라우드 인스턴스 생성 후 진행 ( 2~3일 )
  • 운영 서버 : 클라우드에서 최소 스펙으로 로드밸런싱

마치며

클라우드가 관리 및 운영이 쉽고 편하기 때문에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전부다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경우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기에 개발하는 형태 및 운영 형태에 따라서 클라우드가 아닌 코로케이션 서버를 직접 운영하는 것도 또 다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합리적인 웹 서비스 운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자료 및 관련 사이트

]]>
https://studioys.me/cloud-and-colocation-server-hosting/feed/ 0
MySQL 백업 및 복구 : mysqldump를 활용한 데이터 보호 https://studioys.me/how-to-backup-and-restore-mysql-using-mysqldump/ https://studioys.me/how-to-backup-and-restore-mysql-using-mysqldump/#respond Sun, 15 Dec 2024 03:28:55 +0000 https://studioys.me/?p=964 더 보기MySQL 백업 및 복구 : mysqldump를 활용한 데이터 보호]]>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으로 예기치 못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주기적으로 백업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ysqldump를 사용하여 MySQL 백업 및 복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ysqldump란?

mysqldump는 MySQL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Command Line 기반 백업 도구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스키마를 텍스트 형식(SQL Script)으로 내보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복구하거나, 데이터를 다른 서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mysqldump 설치 및 확인

mysqldump는 MySQL 클라이언트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글만약 MySQL이 설치가 안되어 있으면, MySQL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원하는 버전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아래 명령어로 프로그램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ysqldump --version

MySQL 백업 및 복구

MySQL 백업 및 복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MYSQL 백업

단일 데이터베이스 백업

보통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기 때문에, 아래 명령을 사용하여 백업할 수 있습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p [데이터베이스명] > [백업파일명].sql

# 예시
mysqldump -u root -p my_database > my_database_backup.sql

만약 원격지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기 위해서는 -h 옵션을 추가하여 백업을 할 수 있습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h [호스트] -p [데이터베이스명] > [백업파일명].sql

전체 데이터베이스 백업

서버에 있는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려면 --all-databases 옵션을 사용합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p --all-databases > [백업파일명].sql

특정 테이블만 백업

특정 테이블만 선택적으로 백업할 수도 있습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p [데이터베이스명] [테이블명1] [테이블명2] > [백업파일명].sql

기타 백업 옵션

백업 시 다양한 옵션이 존재합니다. 그 중 많이 사용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add-drop-database: 복구 시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하고 새로 생성합니다.
  • –add-drop-table: 복구 시 기존 테이블을 삭제하고 새로 생성합니다.
  • –routines: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함수를 백업합니다.
  • –events: 이벤트 스케줄러를 백업합니다.

더 자세한 옵션은 MySQL 매뉴얼을 참고하면 됩니다.

MySQL 복구

백업한 파일을 사용해 데이터베이스를 복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일 데이터베이스 복구

아래 명령어로 단일 데이터베이스 백업 파일을 복구합니다.

mysql -u [사용자명] -p [데이터베이스명] < [백업파일명].sql

# 예시
mysql -u root -p my_database < my_database_backup.sql

전체 데이터베이스 복구

전체 데이터베이스 백업을 복구하려면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mysql -u [사용자명] -p < [백업파일명].sql

# 예시
mysql -u root -p < all_databases_backup.sql

백업 스크립트

아래는 정기적으로 MySQL 백업을 수행하는 간단한 Bash 스크립트입니다. 해당 파일을 cron에 등록하여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bin/bash
# MySQL 백업 스크립트

# 설정
USER="root"
PASSWORD="your_password"
DATABASE="my_database"
BACKUP_DIR="/path/to/backup"
DATE=$(date +"%Y%m%d_%H%M%S")
BACKUP_FILE="$BACKUP_DIR/${DATABASE}_backup_$DATE.sql"

# 백업 실행
mysqldump -u $USER -p$PASSWORD $DATABASE > $BACKUP_FILE

# 결과 확인
if [ $? -eq 0 ]; then
  echo "백업 성공: $BACKUP_FILE"
else
  echo "백업 실패"
fi

마치며

mysqldump는 MySQL 데이터베이스의 보호를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반드시 주기적으로 백업하고, 복구 테스트를 통해 백업된 파일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https://studioys.me/how-to-backup-and-restore-mysql-using-mysqldump/feed/ 0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https://studioys.me/%eb%b2%8c%ec%b3%90-%ec%84%9c%eb%b2%84%ec%97%90%ec%84%9c-%ec%9b%90%ed%81%b4%eb%a6%ad-%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84%a4%ec%b9%98/ https://studioys.me/%eb%b2%8c%ec%b3%90-%ec%84%9c%eb%b2%84%ec%97%90%ec%84%9c-%ec%9b%90%ed%81%b4%eb%a6%ad-%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84%a4%ec%b9%98/#respond Wed, 18 Sep 2024 05:07:56 +0000 https://studioys.me/?p=595 더 보기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벌쳐Vultr는 클라우드 컴퓨팅, 단독 서버 등의 가상 클라우드 서버를 주력으로 하는 가성비가 아주 뛰어난 호스팅 업체입니다. 또한 서버를 잘 모르는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이며 매뉴얼이 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벌쳐 클라우드 호스팅 서버를 추천합니다.

이 포스트는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앱을 설치 및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벌쳐 회원 가입

아래 링크를 눌러 벌쳐 홈페이지로 이동하고 회원 가입을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회원 가입하고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14일동안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크레딧 100$가 충전되기 때문에 체험판으로 사용하기 딱 적당합니다.

벌쳐 계정 생성 화면

회원 가입 후 결제 정보 등록이메일 인증을 완료합니다. 결제 정보(신용 카드) 등록 시 선불금(deposit)은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서버 생성

Products > Compute 메뉴를 차례로 클릭하면 서버(Compute)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ploy Server] 버튼을 눌러 서버를 생성합니다.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 - 
Deploy Server

서버 유형 선택

서버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호스팅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Cloud Compute]를 선택합니다.

  • Optimized Cloud Compute: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높은 성능이 필요한 게임 서버 등
  • Cloud Compute: 가성비 클라우드. 낮은 트래픽의 웹사이트나 블로그, 개발용으로 적합
  • Cloud GPU: AI, 머신러닝 등의 GPU가 필요한 전문가용 서버 ( A100, A40 탑재 )
  • Bare Metal: 단속 서버. 높은 성능이 필요한 대형 게임 서버 등
벌쳐 서버 유형 선택 스크린샷

서버 위치 선택

서버 위치를 선택합니다. 한국을 대상으로 블로그 한다면 [Seoul]을 선택합니다. 만약 다른 나라를 대상으로 한다면 그 나라 또는 주변 나라를 선택해주세요.

서버 위치 선택 스크린샷

서버 이미지 선택

워드프레스 앱을 찾아서 선택합니다. 기본 OS를 선택하고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할 경우 워드프레스 설치 뿐만 아니라 PHP, MySQL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원클릭 설치가 가능한 워드프레스 앱을 선택합니다.

서버 이미지 선택

요금제 선택

저는 AMD High Performance 요금제 중에서 가장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했습니다. 나중에 방문자 수가 많아지고 사용하는 플러그인이 많아져 서버가 느리다고 생각되는 시점에서 상위 요금제로 변경하면 됩니다.

요금제 선택

부가 서비스

기본적으로 Auto Backups이 선택되어 있는데 해당 옵션을 제거합니다. 나중에 콘텐츠가 많아지면 활성화할 예정입니다.

백업, IPv6, 디도스 공격, VPC 등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서비스를 체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가 서비스 선택

워드프레스 정보 입력

워드프레스 관리자 이메일 주소 및 블로그 제목을 입력합니다.

워드프레스 정보 입력

서버 설정

등록된 SSH 키 설정을 선택합니다. 만약 SSH 키가 없으면 + 버튼을 눌러 SSH 키를 추가해주세요.
(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여 SSH 키를 생성하고 등록할 수 있습니다. )

호스트 네임

서버 호스트 네임을 입력합니다. Compute 목록에서 서버가 여러 대 있을 때 구분하기 위한 이름입니다.

서버 호스트 네임

서버 생성

최종적으로 월 6$ (약 8,100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서버를 생성하면 워드프레스 설치된 서버가 Compute 목록에 서버가 생성되고 Installing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Running 상태로 변경됩니다.

Running 상태가 되었다고 바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View Console에서 필요한 작업이 계속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수 작업이 끝나고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제 벌쳐 서버에서 원클릭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다음 단계로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관리자 계정을 추가하고 기본 언어 설정을 변경해보겠습니다.

관련 포스트

]]>
https://studioys.me/%eb%b2%8c%ec%b3%90-%ec%84%9c%eb%b2%84%ec%97%90%ec%84%9c-%ec%9b%90%ed%81%b4%eb%a6%ad-%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84%a4%ec%b9%98/feed/ 0